실개천과 소하천은 자치단체에서 관리하고 있다. 자치단체마다 폭우로 붕괴된 개천을 원상태로 복구해야 하지만 모래포대로 응급조치만 한 상태에서 원상태로 복구작업은 전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개천을 준설하며 잘 관리하면 폭우가 쏟아져도 홍수걱정 없어진다.
개천을 안전하게 활용하는 방안이 나와야 한다. 이명박 정권시에 한 4대강 사업을 지금도 반대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여러번 폭우에도 4대강 주변은 비교적 안전했다.
전국의 강과 소하천 그리고 실개천을 원상태로 복원하면 한국의 기적이 또 하나 생기는 것이다.
지자체가 신경 써야 가능한 사업이지만 전 국민이 관심을 갖고 실개천 준설 운동을 시작해야 한다.
실개천 살리기 운동은 제2의 새마을 운동이 되고 우리 경제의 원동력이 되어 한국은 또한번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수백만 관광객이 전국 방방곡곡을 찾는 날이 올 것이다.
우리는 아직 자연을 잘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소하천과 실개천 그리고 산을 잘 활용하면 교통, 관광, 양식, 놀이 및 쉼터로 활용할 수 있다. 대마도에는 바닷물이 시내중심까지 들어오도록 물길을 만들어 밀물 때는 물고기까지 같이 올라와 장관을 이루고 개천 양측 면 석축엔 조선통신사행차도를 전시하여 한국관광객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실개천 경제가 성공한다면 지역주민의 안전과 소득증대는 도시민을 농어촌으로 유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현재는 폭우만 내리면 대책없이 피해를 당하고 있다.
배수로와 소하천(실개천)을 정비하는 일은 치산치수의 기본이다.
정부와 자치단체는 기후 이변으로 자주 발생하는 집중 폭우사태에 대비하고 이번 500mm 이상의 폭우로 큰 피해를 당한 서산, 당진, 예산 지역의 소하천 복구를 신속히 완료하여 주민의 불안을 해소하고 더 이상의 국고 낭비를 막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