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톨스토이의 마지막 (정용구 칼럼)

  •     詩와  靈魂의  길

    "나 이제 가노라,
    나의 시간이 다 하였노라,
     땅은 나를 돌려 보내고
    하늘은 나를 불러 이끄노라,
     
    많은 것을 보았고,
    더 많은 것을 알지 못했으며,
     사랑을  알았고,
    진리를 향해 걸었노라,

    모든 것을  버리고
      이제는  모든  것을
        품으러   가노라 ,

    죽음이여,
       너는 나의 문이로다.
        영원한 생명의 문이로다.

    이 짧은 詩는 톨스토이가 인생의 마지막 문턱에서
    레프 톨스토이의 영혼이 세상과 마지막 인사처럼 들린다.

    부와 명예, 문학적 명성을 거머쥐었던 한 인간의 모든 것을 내려놓고 " 사랑을 알았고, 진리를 향해 걸었노라"고  말할 수 있다는 것, 그 여정은 어떻게 가능 했을까?

    귀족에서 진리나 종교적 경지를 구하는 求道者로
    레프 톨스토이는 러시아 대지주 집안에서 태어나,
    부와 교육 ,문학적 성공을 일찍이  경험한 철학인  대문호였다.

    많은 작품중에 전쟁과 평화, 안나 카레니나 는 그를 세계적인 문호의 반열에 올려 놓았지만, 그는 어느 순간 깊은 허무와 절망에 빠지게 된다.

    " 나는 왜 사는가?"
    죽음 이후에는 무엇이 있는가?" 라는 물음이
    그의 삶을 송두리째 흔들었다.

    이 치열한 내적 고뇌는 참회록(Confession)이라는
    작품으로 남았고, 그 책에서
    그는 신앙 없는 삶에 무의미함을 고백한다.

    톨스토이는 교회가 아닌,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이
    담긴 성서, 특히 山上垂訓, 신약성서 5~7장의 종교적 가르침과 윤리적 교훈에서
    삶의 지표를 찾는다.

    그리고 모든 것을 뒤로한 채
    진리의 길을 걷기 시작 한다.

    왜 예수를 찾았는가?
    그가 만난 예수는 기적을 일으키는 신이 아니라,"
    왼 뺨을 때리거든 오른 뺨도 돌려대라" 고 말하며," 악을 악으로 갚지 말라" 고 가르치는 사람이었다. 고
    그는 말한다.

    나는 예수의 가르침이야 말로
    인간존재가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진리라고 확신하게 되었다.

    그래서 그는 귀족의 옷을 벗어 던지고, 手工일을 배우며, 마차대신 맨발로 걷고, 가난한 자와 함께
    밭을 갈았다.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글로 옮겨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와  같은 작품을 통해 전하고자 했다.

    마지막 선택! 과  마지막 詩!
    죽음이 가까워졌을 무렵,
    그는 결국 가족과도 떨어져 한밤중  몰래 기차를 타고 수도원으로 향하는 길에 나섰다.
    세속과 결별하기 위함이었다.

    그러나 병이 악화되어 기차역에서  쓰러졌고 ,
    한 작은 간이역에서 생을 마감하게 된다.

    그의 유언처럼 이 마지막 詩는, 고통과 갈등의 세월 끝에
    마침내 얻은 평화의 숨결처럼 느껴진다.

    "모든 것을 버리고/ 이제는 모든 것을 품으로 가노라"는
    말은, 죽음을 향한 선언이 아니라 영혼이 지향하는 완성이었다고 본다.

    인류사에 대문호 톨스토이가
    우리에게 남긴 것은 ! 그는
    위대한 작가로 기억되기보다,
    진리를 추구하는 인간으로 살고자 했다.

    그는 세상을 향해 "당신은 무엇을 위해 버릴 수 있으며, 누구를 위해 사랑할 수 있는가?  물었다.
    그렇다.

    우리 모두다  태어났으니 언젠가는 이 세상을 떠나야 한다.  그것이 창조주의 섭리요, 질서이다 .
     헛되고  헛되며  헛되니

    모든 것이  헛되도다. (전도서1:11-)

    그날에

    "나는 진리를 향해 걸었다고
      말할 수 있을련지~"
           
      삼송마을 書齋房에서
        논설위원.   정용구
  • 글쓴날 : [25-09-06 08:42]
    • 시민신문 기자[citynew@naver.com]
    • 다른기사보기 시민신문 기자의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