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민사회연대회의(이하 연대회의)는 지난 21일 성명을 통해 이동환 고양시장의 시정 전반에 대해 강하게 비판하며, 고양시의 청년 정책 폐기, 지역화폐 예산 삭감, 산황산 골프장 증설 승인 등을 문제 삼아 “민생과 환경, 미래를 동시에 외면한 퇴행적 행정”이라고 규정했다.
연대회의는 특히, 경기도가 시행 중인 만 24세 청년 대상의 ‘청년기본소득’ 사업에 대해 고양시가 2024년부터 예산을 편성하지 않아 해당 정책의 적용을 받지 못하게 된 점을 지적했다.
“경기도 내 대부분의 시군이 청년에게 분기당 25만 원, 연 100만 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사회 진입과 재·취업을 지원하고 있다. 고양시만 이를 거부한 것은 청년정책을 사실상 폐기한 것”이라며 “청년들이 지역을 떠나는 원인을 자초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한 고양시는 올해 지역화폐인 ‘고양페이’ 인센티브 예산을 전면 삭감해, 지역 내 소비 촉진과 자영업자 매출 증대에 큰 타격을 주고 있다고 주장했다.
연대회의는 “인근 파주시와 김포시는 여전히 10% 인센티브를 유지하며 지역경제 회복에 나서고 있다”며 “고양시는 고물가 시대에 시민의 소비 여력을 축소시키고, 소상공인을 외면한 채 정치적 목적의 정책 차별화에만 몰두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동환 시장이 최근 승인한 산황산 도시자연공원 내 골프장 증설 계획도 성명서의 주요 비판 대상이었다.
해당 계획은 기존 8홀 규모의 골프장을 16홀로 확대하는 것으로, 연대회의는 이를 두고 “산황산은 고양시의 대표적인 생태축이자 시민들의 여가와 쉼터로 기능해왔다”며 “환경단체와 시민들의 반복된 보호 요구를 무시하고 토건 자본의 손을 들어준 결정”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성명서에서 연대회의는 이동환 시장 취임 후 3년간의 시정을 “불통, 외유, 낙하산 인사, 민생 파괴, 환경 후퇴”로 규정하며, “이제 더 이상 기대하지도, 요구하지도 않는다. 고양시는 시민의 손으로 바로잡아야 할 도시가 되었다”고 밝혔다.
또한 “다가오는 지방선거에서 시민의 준엄한 심판이 있을 것이며, 그 이전이라도 고양시 정상화를 위한 시민 행동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동환 고양시장은 국민의힘 소속으로 2022년 민선 8기 시장으로 당선되었으며, 최근에도 행정행위의 일방성과 특정 사업의 졸속 추진 논란으로 시민단체와의 갈등이 이어지고 있다.